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9주 1일차 TIL 정리
    웅진 STARTERS 부트캠프 2023. 4. 3. 18:49

    9주 1일차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대시보드를 완성하고, 발표자료를 제작하는 시간을 가졌다.

     

    1. 문제정의 / 목표

    • 문제 정의: 웹툰, 영화 등 흥행한 작품을 2차 창작물로 제작하는 회사에서 요청한 사항으로, 어떤 앱으로 제작할지 결정하고자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목표
      • 2차 창작물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에 있어, 1) 시장성이 좋으며, 2) 1차창작 작품의 방향성과 일치하고, 3) 제작사의 역량에서 소화 가능한 창작물 분야를 선택할 수 있다.
      • 알맞은 분야를 선택한 후, 해당 분야에 대한 정보를 조회해 벤치마킹할 어플리케이션을 제시받을 수 있다.

     

    2. 대시보드 1

     

    2차 창작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전반적인 현황을 확인한다.

    • 카테고리 별 Install 수
      • 설치 횟수가 많은 카테고리를 파악할 수 있다. Install 수로 해당 카테고리의 시장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 전체 앱들의 Rating 분포
      • 플레이 스토어에 존재하는 모든 앱들의 Rating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 기존 플레이 스토어에 존재하는 앱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전반적인 평가를 확인하는 것으로 평가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다.
    • 전체 앱 Paid vs Free 비율
      • 플레이 스토어에 존재하는 모든 앱들의 Paid, Free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장 진입 시 유료화 여부 고려에 도움을 준다.
    • Content Rating 별 평균 다운로드 수 & 앱 개수
      • 이용 연령 등급 별 다운로드 수와 앱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어느 연령대의 고객들이 많으며, 평균 다운로드 수(수요)에 대해 앱 개수(공급)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다.
    • 카테고리 별 Sentiment 비율
      • 카테고리 별로 유저의 반응 수, 긍/부정 반응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 리뷰 수가 많으며 긍정적인 리뷰가 많은 긍정적인 카테고리 시장으로 진입을 고려할 수 있다.

     

    3. 대시보드 2

     

     

    • 앱 개수 및 설치횟수
      • 카테고리별 앱의 개수와, 앱의 설치횟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 어플 당 평균 설치횟수
      • 카테고리별 앱의 전체 설치횟수에서 앱의 개수를 나눈 값이다. 앱 하나 당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고객을 수용하는지 볼 수 있으며, 시장의 포화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 최근 업데이트 후 경과일
      • 카테고리별 최근 업데이트부터 지금까지의 경과일 중앙값을 볼 수 있다. 관심 분류가 지속적으로 서비스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하는 환경인지, 아닌지를 판별해 배포사의 개발역량에 맞춰 2차창작 매개체를 선정할 수 있다.
    • 워드클라우드
      • 현재 보고 있는 카테고리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키워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다룰 1차 창작물의 특성을 어떤 장르와 카테고리가 잘 담을 수 있을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활용된다.

     

    4. 대시보드 3

     

     

    • 앱 개수
      • 중반 리스트에서, 점수가 70점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이 몇 개인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벤치마킹할 어플의 개수이자, 동시에 경쟁사의 개수로 생각할 수 있다.
    • Median Rating
      • 선택한 카테고리 혹은 장르의 평점 중앙값을 노출한다.
    • Type별 비율
      • 카테고리 혹은 장르의 앱 중 유료앱이 어느 정도 되는지 알 수 있다.
    • Content Rating별 비율
      • 해당 카테고리 혹은 장르가 어떤 연령대를 기준으로 보통 서비스되는지 알 수 있다.
    • 리스트
      • 카테고리, 장르 별 앱을 자체적으로 산정한 점수 기준에 따라 나타냈다. 점수 기준 70점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이 벤치마킹으로 추천하는 어플로 순위가 매겨진 채 노출된다.
      • (점수 산정 기준: 리뷰 점수에 비례, 최근 업데이트 후 경과일에 반비례. 리뷰 개수 최소치로 고려.)
    • 참고할 앱의 Sentiment
      • 리스트에 있는 앱들의 Sentiment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리스트 내부 앱들의 판단기준을 보조할 수 있다.
      • 또한 좌측의 파이 차트에서 Sentiment의 비율을 나타냄으로써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앱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알 수 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