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 STARTERS 부트캠프

9주 3일차 TIL 정리

WoodenStella 2023. 4. 5. 15:46

9주 3일차에는 Tableau Desktop Specialist 자격증의 모의시험 결과에 대해 오답풀이를 하고, 새로운 모의시험을 치렀다.

 


오답풀이


 

ANSWER: 2개

 

 

 

이 상태에서 column을 다중선택해 Accessories ~ Chairs를 그룹해보면
> 선택한 것들이 하나로 합쳐지지만 나머지가 모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4번은 틀린 보기이며,

 

새로운 마크가 만들어짐

다음과 같이 이뤄지므로,

ANSWER: 2번

 

 

 

 

 

 

3번과 4번이 복수정답이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 경우에는 measure를 discrete field로 변환하는 상황까지 가정하여 4번을 오답처리했다.

 

굉장히 일반적이지 않은 문제라고 함!

 

ANSWER: 3번

 

 

.tds 파일의 new version으로 .hyper를 외워 둘 것!

 

 

 

converging palete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각 이를 뜻한다.

 

stepped palette

 

reverse palette

 

diverging palette

 

(+ sequantial palette)

 

이 중 -에서 +로 향하는 값을 표시하는 그래프는,

ANSWER: diverging palette

 

 

merge = join : (결합됨) (물리적 레벨에서의 결합)
relationship : (결합되지 않음) (추상적 레벨에서의 결합)

 

 

ANSWER: False

 

대시보드에서 저거 잡고 움직이는 걸 말하는거다...

 

ANSWER: 1번

 

* stacked bar chart를 누계 차트와 헷갈렸다...

 

ANSWER: 3번

 


Split Container과 Diagnal Container는 존재하지 않는다..

 

ANSWER: 1, 3번

 

Scaled는 없고, Range는 있다.

 

ANSWER: 2, 3, 4번

 

 

 

 

1) 상단메뉴 서식 - 글꼴 - 도구 설명

2) 상단메뉴 워크시트 - 도구 설명

3) 마크에서 툴팁 클릭 후 편집

 

ANSWER: 1, 2, 3번

 

 

필터는 쿼리를 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context filter는 눈에 보이지 않는 뒷단의 쿼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 앞의 가정을 안 봤다..

 

ANSWER: 2, 3번

 

트리맵은 사이즈로 구분되기 때문에 사이즈 옵션을 적용할 수 없다.

ANSWER: 1번

 

 

이름 자체가 Layout Container이며, Layout Container 안에 속해 있는 Layout Blanks는 포지셔닝이 아닌 그저 공백을 만든는 기능이다.

 

ANSWER: 1번

 

그냥 외워야 할 듯!

Discrete → BLUE

Continuous → GREEN

 

ANSWER: 4번

 

출처: 태블로 공식 사이트

https://help.tableau.com/current/pro/desktop/en-us/export_connection.htm

 

Save Data Sources

If you’ve created a data connection that you might want to use with other workbooks or share with colleagues, you can export (save) the data source to a file

help.tableau.com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번뿐이다.

 

ANSWER: 1, 2, 4번

 

 

 

위 링크 참고해 설명 가능, tds는 데이터 원본을 제공하지 않은 채 연결에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는 파일형식이다.

 

ANSWER: 1번

 

 

 


맞았지만 고려할 필요 있는 문제들


 

시트에서 설정하는 것은 전부 시트 레벨로 이루어지는 설정.

Workbook level(통합문서 전체 기준) 의 설정은 상단 format 메뉴 - workbook에서 설정하는 방법 하나밖에 없음!

 

 

 

( demension의 개수 ) * ( 그 반대편 (demension이 row면 column)에 존재하는 measure의 개수 )

=

number of ma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