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 5일차 TIL 정리
7주 5일차에는 Tableau VLOD 함수를 활용해 진행하는 프로젝트 준비의 시간을 가졌다.
※ 프로젝트 진행 ※
대시보드 구성에 있어 두 가지 목표를 잡았다.
1. 어떤 제조사를 소거할 것인가?
2. 어떤 제조사를 밀어줄 것인가?
이에 따라 시계열과 추세선의 기울기를 활용하려 하였으나, 실패해 대체수단을 마련하고자 했다.
※ 추세선의 기울기(TREND LINE SLOPE) 구하기(시도에 대한 정리) ※
방법 1. WINDOW_COV 활용
출처:
https://kb.tableau.com/articles/howto/manually-calculating-trend-lines
Manually Calculating Trend Lines | Tableau Software
kb.tableau.com
활용 공식: WINDOW_COVAR(SUM(X),SUM(Y)) / WINDOW_COVAR(SUM(X))
적용: 활용을 위해 X축을 ORDER DATE, Y축을 PROFIT으로 잡은 후 공식을 적용하였다.
이때, ORDER DATE의 월데이터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MONTH()함수를 활용하여 진행하려 했지만 연도를 고려하지 않은 월별 집계가 이뤄지는 탓에 실패했다.
따라서, ORDER DATE의 연월을 가져오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된 필드를 생성했다.
INT( LEFT( REPLACE(STR([Order Date]),'-',''),6 ) )
2022-10-22 와 같은 형식으로 형성된 날짜데이터를
1. 문자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 후
2. ' - ' (대쉬) 를 '' (공백) 으로 변환 → 20221022
3. LEFT를 활용해 앞 6자리(연월)추출 → 202210
4. 숫자형으로 변환
했다.
이를 활용해 해당 함수를 적용했으나,
다음과 같이 만든 형식을 집계하면 그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MIN함수를 사용해 MIN([int_날짜3]) 형식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값은 나오지만, 실제 기울기값과 다르게 나왔다.)
방법 2. (Simon Runc의 답변 활용)
Return Slope Coefficient of a Linear Trend Line
General Information We use three kinds of cookies on our websites: required, functional, and advertising. You can choose whether functional and advertising cookies apply. Click on the different cookie categories to find out more about each category and to
community.tableau.com
활용 공식:
[Date as INT - MIN Aggregation]
MIN(INT([Month of Listing Date]))
[Slope]
(SIZE()*WINDOW_SUM([Date as INT - MIN Aggregation] * SUM([Median Sale Price]))-WINDOW_SUM([Date as INT - MIN Aggregation])
*
WINDOW_SUM(SUM([Median Sale Price])))
/
(SIZE()*WINDOW_SUM([Date as INT - MIN Aggregation]^2)
-
WINDOW_SUM([Date as INT - MIN Aggregation])^2)
적용:
→ 앞과 동일한 INT_날짜3에 MIN을 붙인 필드 활용
[ int_날짜3 ]
MIN(INT( LEFT( REPLACE(STR([Order Date]),'-',''),6 ) ))
[ SLOPE ]
(SIZE()*WINDOW_SUM([int_날짜3] * avg([include manuf profit avg]))-WINDOW_SUM([int_날짜3])
*
WINDOW_SUM(avg([include manuf profit avg])))
/
(SIZE()*WINDOW_SUM([int_날짜3]^2)
-
WINDOW_SUM([int_날짜3])^2)
이 또한 유사값 정도는 나왔지만, 일치하는 값은 얻을 수 없었다.
※ 프로젝트 결과물 정리 ※
제외해야 할 제조사 목록에서는 투자를 철수해야 할 산업군을 구별하며, 수익이 부진한 제조사를 걸러내고자 하였다.
1. 산업군별 등급 을 활성 시장 - 주의 요망 - 철수 권고의 3단계로 나누었다.
결정의 기준은
철수 권고: 합계순이익이 마이너스인 기업이 50% 이상인 사업(sub-category)
주의 요망: 합계순이익이 마이너스인 기업이 30~50%인 사업(sub-category)
활성 시장: 합계순이익이 마이너스인 기업이 30% 이하인 사업(sub-category)
이다.
여기서 시계열조건이 들어가며 추세선의 기울기가 마이너스인지 여부를 통해 중복체크하려 하였으나, 추세선의 기울기를 산정하는 것에 실패하여 단일 판단조건으로 구했다.
2. 제조사 리스트에서는 sub-category별 제조사 중 수익의 평균이 음수인 제조사 리스트를 추렸다.
3. 산업군 시계열의 경우 시계열 그래프와 함께 추세선을 보여 해당 산업이 증가추세인지, 감소추세인지 알 수 있게 하였다.
투자권고 제조사에서는 현제 강세에 있는 제조사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1. 카테고리 평균 세일즈에서는 현재 sub-category별 평균 매출을 파악하여 시장규모를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2. 선호 제조사 TOP 5에서는 sub-category별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제조사를 순위로 매겨 표시하였다.
3. 판매 금액 점유율에서는 sub-category별 기업의 판매금액 점유율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