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주 1일차 TIL 정리웅진 STARTERS 부트캠프 2023. 2. 27. 17:36
4주 1일차에는 DDDT의 마지막 시간으로, 전에 진행했던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 아이디에이션, 프로토타이핑, 피드백 & 수용의 과정을 거쳤다.
※ 아이디에이션 ※
- 아이디에이션 전 실제 진행한 데이터 검증: 주제가 문제상황으로 적합한지 데이터로 설득하는 과정
- 브레인스토밍: 비판 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모은 다음 정리하는 기법.
* 스캠퍼(SCAMPER)기법:
- Substitute: 대체하기
eg) A를 B로 쓰면 어떨까?
- Combine: 결합하기
eg) A와 B를 결합하면 어떨까?
- Adapt: 응용하기
eg) A를 C처럼 생각해볼까?
- Modify - Minify - Magnify: 수정, 축소, 확대하기
eg) A를 크게 하면 어떨까? A를 작게 하면 어떨까? A의 형질을 변형하면 어떨까?
- Put to other uses: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eg) A를 G용도로 사용하면 어떨까?
- Eliminate: 제거하기
eg) A의 일부를 제거하면 어떨까?
- Rearrange - Reverse: 반전하기, 재정렬하기
eg) AB를 BA로 바꾸면 어떨까? A를 뒤집으면 어떨까?
- 실제 진행한 브레인스토밍
정리:
취준생인 황유나 씨가 온라인 강의에 집중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핵심적인 요소(POV)는
동기부여
적절한 환경 구축
위 핵심 요소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HMW 아이디어)을 아래와 같이 선정!
조직, 그룹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속감으로 동기부여
소속된 조직에 대한 책임감으로 강제성 확보 및 학습 의지 상승
목표 달성을 통해 얻는 성취감으로 동기 부여
기능적 요소로 학습에 적당한 강제성을 부여하여 의지박약 개선
+ 실시간 Q&A를 통해 기존 질의응답의 불편함 개선
황유나 씨가 겪고 있는 공간, 시간, 비용 등의 제약과 온라인 수업인 점을 고려, 위와 같은 요소들을 모두 적절히 녹여낼 수 있는 환경으로 메타버스 선정
※ 프로토타이핑 ※
정의된 기능을 중심으로 프로토타입 제작.
※ 피드백 및 수용 ※
비판 중 특별히 추가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느껴진 것은 기간이 늘어지며 질릴 수 있다는 점이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한 고려를 하지 않았으며, 추후 프로젝트가 발전하려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DDDT를 마무리하며 ※
일반 DT와 특별한 차이는 없었지만, 데이터를 엮는 것만으로 큰 설득력이 더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디자인 전공에서는 수단에 불과했던 DT가 오히려 데이터와 엮이며 더욱 부각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역시나 디자인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온라인강의를 3주 동안 수강한 이후 수강한 오프라인 프로젝트 기반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 반갑고 단비같이 느껴졌다. 내일부터 진행할 Tableau 강의 전의 좋은 리프레시가 되었던 것 같다.
'웅진 STARTERS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 3일차 TIL 정리 (0) 2023.03.02 4주 2일차 TIL 정리 (0) 2023.02.28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4기 - 데이터분석/시각화(태블로) 3주차 학습 일지 (0) 2023.02.26 3주 5일차 TIL 정리 (0) 2023.02.24 3주 4일차 TIL 정리 (0) 2023.02.23